맨위로가기

제2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기갑사단은 1935년 독일 재무장 선언 이후 창설된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으로, 폴란드 침공, 프랑스 전투, 발칸 전역, 동부 전선, 서부 전선 등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선에 참전했다. 하인츠 구데리안을 비롯한 여러 지휘관이 사단을 이끌었으며, 폴란드 침공 당시 322대의 전차를 보유했다. 동부 전선에서는 모스크바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등에 참여했고, 서부 전선에서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팔레즈 포위전, 벌지 전투 등에 투입되었다. 1945년 5월 미군에 항복하며 종전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제5기갑군
    제5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기갑군으로, 북아프리카와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튀니지 전투,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3년과 1945년에 각각 항복하고 해체되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제3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제3기갑사단은 1935년 창설된 독일 국방군 최초의 기갑사단 중 하나로, 폴란드, 프랑스 침공에서 큰 전과를 올렸지만 동부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르며 막대한 손실을 입고 주요 전투에 참여 후 1945년 미군에 항복한, 제2차 세계 대전의 격변과 기갑전의 중요성, 장기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1935년 설립 - 캠프 데이비드
    캠프 데이비드는 메릴랜드주 캐탁틴 산맥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1938년 휴양 시설로 개장 후 1942년 대통령 별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국제 회담 및 외교 협상 장소로 활용되어 왔다.
  • 1935년 설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은 기쿠치 칸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기려 제정한 일본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신인 및 중견 작가의 단편 및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매년 두 차례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회중시계가 수여되고 문예춘추에 수상작이 게재되지만, 저널리즘적 성격과 심사 과정, 심사위원 구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제2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명칭제2기갑사단
원어 명칭2. Panzer-Division (독일어)
약칭2. Pz.Div.
제2기갑사단 휘장
휘장 (1939년–1940년)
제2기갑사단 휘장 (변형)
휘장 (1940년–1945년, 변형)
제2기갑사단 휘장
휘장 (1940년–1944년)
제2기갑사단 휘장
휘장 (1944년–1945년)
창설일1935년 10월 15일
해체일1945년 5월 8일
소속 국가나치 독일
군종독일 국방군 육군
규모사단
역할기갑전
주둔지뷔르츠부르크 (1935년–1938년), 빈 (1938년–1945년)
지휘관
주요 지휘관하인츠 구데리안
참전
주요 전투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침공
프랑스 전투
그리스 전투
바르바로사 작전
쿠르스크 전투
노르망디 상륙
벌지 전투

2. 부대 역사

1935년 아돌프 히틀러의 재무장 선언 이후 창설된 제2기갑사단은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오스트리아에 주둔하며 구 오스트리아 군인들을 흡수했다.[25] 이후 1939년 폴란드 침공, 1940년 프랑스 전투, 1941년 발칸 전역소련 침공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역에 참전했다.

폴란드 침공에서 큰 손실을 입은 후, 프랑스 전투에서 영국 해협을 향해 진격하여 아베빌을 점령하고 됭케르크 포위망에서 연합군을 포위했다. 서부 전역 후에는 폴란드 점령 임무를 수행하며 재편성되었다. 1941년에는 루마니아를 거쳐 발칸 전역에 참가, 유고슬라비아그리스아테네를 6 산악사단과 함께 점령했다.

소련 침공 직전 장비 손실로 독일 본토에 대기하다가, 1941년 7월 폴란드를 거쳐 10월에 동부 전선에 배치되었다. 중부집단군 예하에서 모스크바 전투, 1942년 르제프 전투, 1943년 쿠르스크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가했다.

1944년 2월 프랑스로 이동하여 휴식과 재보충을 받은 후,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자 노르망디 전역에서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팔레즈 포위전에서 거의 괴멸되었다. 이후 독일 아이펠에서 재편성을 거쳐 1944년 12월 벌지 전투(라인 수비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미군 반격과 연합군 항공 지원으로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1945년 3월과 4월, 잔존 병력은 튀링겐 기갑여단에 배치되어 중부 모젤과 풀다 지역에서 전투를 벌이다가 5월에 플라우엔과 쾨칭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35년 10월 15일, 독일 바이에른주 뷔르츠부르크에서 제1기갑사단, 제3기갑사단과 함께 독일 국방군의 첫 기갑사단으로 창설되었다.[2][14] 당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전차 개발이 제한되어, 초기에는 1호 전차, 2호 전차 등 경전차 위주로 편성되었다.[15]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에 참여하여 하인츠 구데리안 지휘 아래 빈까지 680km를 48시간 만에 주파하며 전격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6]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전차의 30%가 사고와 기계적 고장으로 손실되었다.[4] 오스트리아 병합 후, 구 오스트리아 군인들을 흡수하여 전력을 보강했다.[4]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35년 아돌프 히틀러가 재무장을 선언한 후 창설된 제2기갑사단은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오스트리아에 주둔하며 구 오스트리아 군인들을 흡수했다.[25] 1939년 폴란드 침공, 1940년 프랑스 전투, 1941년 발칸 전역소련 침공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역에 참전했다.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가하여 큰 손실을 입었다. 폴란드 전투 후, 프랑스 전투가 시작되자 영국 해협을 향해 진격하여 아베빌을 점령하고, 됭케르크 포위망에서 연합군을 포위했다. 서부 전역이 끝난 후에는 폴란드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며 재편성 과정을 거쳤다. 1941년에는 루마니아를 거쳐 발칸 전역에 참가, 유고슬라비아 점령과 그리스아테네를 점령했다.

1941년 소련 침공 직전에는 장비 손실로 인해 독일 본토에 대기하다가, 1941년 7월 폴란드를 거쳐 10월에 동부 전선에 배치되었다. 중부집단군 예하에서 모스크바 전투를 시작으로 1942년 르제프 전투, 1943년 쿠르스크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가했다.

1944년 2월, 프랑스로 이동하여 휴식과 재보충을 받은 후,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자 노르망디 전역에서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팔레즈 포위전에서 거의 괴멸되었다. 이후 독일 아이펠에서 재편성을 거쳐 1944년 12월 벌지 전투(라인 수비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미군의 반격과 연합군의 항공 지원으로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1945년 3월과 4월, 잔존 병력은 튀링겐 기갑여단에 배치되어 중부 모젤과 풀다 지역에서 전투를 벌이다가 5월에 플라우엔과 쾨칭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2. 2. 1. 폴란드 침공 (1939년)

1939년 9월 초, 제2 기갑 사단은 폴란드 침공에 참여하여 폴란드-슬로바키아 국경을 넘어 크라쿠프로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군의 저항으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4][5] 당시 제2 기갑 사단이 보유했던 전차는 다음과 같다:[25]

전차 종류수량
1호 전차124대
2호 전차155대
3호 전차6대
4호 전차17대
구난전차20대
총계322대



제2 기갑 사단의 폴란드 침공 작전 배치도. 슬로바키아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하여 크라쿠프를 점령하고 비스와 계곡을 통해 바르샤바까지 진격하는 모습

2. 2. 2. 프랑스 전투 (1940년)

1940년 5월, 제2기갑사단은 하인츠 구데리안의 지휘 아래 제19군단 소속으로 프랑스 공방전에 참전했다. 이들은 벨기에모젤강 계곡에서 전투를 벌였고, 5월 20일 아베빌을 점령했다.[6]

1940년 5월 10일부터 16일까지 독일 기갑 부대의 진격(제2기갑사단 포함) (프랑스 침공)


이후 불로뉴로 진격하여 5월 22일 장비가 부족한 프랑스 제48연대와 전투를 벌였다. 방어선을 돌파한 제2기갑사단은 혼란에 빠진 항구를 직접 공격했다.[6] 이들은 됭케르크 포위망에서 연합군 포위망의 일부를 형성, 영국 원정군의 측면을 공격하여 됭케르크 철수를 강요했다.

제2기갑사단은 엔강을 따라 프랑스 내륙으로 진격했다. 1940년 말, 제4전차연대가 제13기갑사단 창설의 기반으로 사용되기 위해 사단에서 분리되었다.[4][5][7]

2. 2. 3. 발칸 전역 (1941년)

제2기갑사단은 1941년 4월, 제18 산악군단 제12군에 배속되어 그리스 침공 작전인 마리타 작전에 참여했다.[5][7] 독일군은 유고슬라비아 남부를 통과하여 그리스 국경에 도달했고, 도이라이니 호수 지역에서 제19 그리스 기계화 사단과 교전을 벌였다. 4월 9일, 사단은 테살로니키를 점령하고 그리스 동마케도니아군 구역의 항복을 받아냈다.

사단은 제5 산악사단, 제6 산악사단, 제72 보병사단과 함께 그리스 남부로 진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제6 산악사단이 베로이아를 점령하고 알리아크몬강 반대편에 교두보를 확보한 후, 제2기갑사단은 강을 건너 4월 14일 카테리니를 점령했다. 테르모필레 전투 이후, 제2기갑사단은 제6 산악사단과 함께 아테네에 진입했다.

작전 종료 후, 제2기갑사단은 재정비를 위해 빈으로 돌아갔다. 사단의 일부는 해상으로 수송되던 중 수송선 ''마르부르크''와 ''키페르스''가 HMS ''압디엘''이 설치한 기뢰에 의해 침몰하여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2. 2. 4. 독소전쟁 (1941년 ~ 1943년)

1941년 10월, 제2기갑사단은 동부 전선에 배치되어 중부집단군 예하에서 모스크바 공방전에 참전했다.[8] 이 부대는 제4기갑군의 제40 기갑 군단 (이후 제5군단)에 배속되었다. 11월 16일, 사단 부대는 "판필로프 28인"이 주둔하고 있던 소련군 진지를 공격했다.[8] 1941년과 1942년 겨울, 붉은 군대의 대규모 반격에 직면하여 후퇴했고, 1942년 초에는 제9 독일군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전투에 참가했다. 1942년 르제프 전투와 1943년 7월의 쿠르스크 전투 등 1942년 대규모 방어전을 중부집단군 소속으로 동부 전선에서 계속 격전을 치렀다.[7][9]

1943년 제2기갑사단은 쿠르스크 전투에 중부 집단군의 제9 독일군, 제47 기갑 군단의 일원으로 참가했다.[19] 작전 실패 이후, 붉은 군대는 집단군 중부 지역에서 쿠투조프 작전을 개시했고, 사단은 후퇴하면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1942년 초 사단의 3개 전차 대대 중 2개가 볼가와 코카서스 방향으로의 독일군의 진격을 지원하기 위해 전선 남부 지역으로 보내졌을 때 이미 손실을 입은 상태였다.[19][20]

2. 2. 5. 서부 전선 (1944년 ~ 1945년)

1944년 2월, 2 기갑사단은 동부전선에서 물러나 프랑스에서 휴식과 재보충을 받았다. 프랑스에서 점령군 임무를 수행한 후,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자 연합군에 맞서 격전을 치렀다. 노르망디 전역에서 절망적인 전투를 치른 후, 2 기갑사단은 팔레즈 포위전에서 거의 괴멸되었다. 포위망에서 탈출했지만, 그동안 입은 손실은 매우 컸다.[19]

아이펠의 비트리히에서 352 보병사단의 잔여 병력을 흡수하여 부대 정비 및 재편성을 한 후, 1944년 12월 벌지 전투(라인 수비 작전)에 투입되었다. 2 기갑사단은 이 전투에서 애초 작전 계획에 가장 근접하게 가장 멀리 서쪽까지 진격했으나, 미군의 반격이 집중되어 큰 피해를 입고 전선에서 물러나야 했다. 다른 기갑사단들과 달리 2 기갑사단의 전차부대는 4호 전차로 구성되었고, 미군의 M-4 셔먼은 4호 전차의 적절한 상대였다. 그러나 전차 보유 자료를 보면 판터 약 50대, 4호 전차 약 20대, 3호 돌격포 약 28대로 주력은 판터였으며, 2 기갑사단은 5기갑군의 선봉으로써 티거와 티거2를 장비한 제506 중전차대대까지 배속받은 강적이었다는 주장도 있다. 사실상 고립된 채 전선에 돌출한 2 기갑사단은 연합군의 항공 지원에도 시달리며 전투를 치러야 했고, 결국 후퇴해야 했다. 이때 상대한 미군 기갑부대는 2 기갑사단이었으며, 2 SS기갑사단도 가담했다.[19]

1945년 3월과 4월, 사단의 얼마 안되는 생존자들은 튀링겐 기갑여단에 배치되어 중부 모젤과 풀다 지역에서 싸우다가 5월에 플라우엔과 쾨칭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19]

2. 3. 전쟁 범죄

폴란드 9월 전역 중 제2기갑사단 소속 병사들이 폴란드 민간인들을 학살한 사건이 있었다.[26] 1939년 9월 5일, 토포르크스코-비스트라(Toporzysko-Bystra) 마을 근처에서 항복한 폴란드 병사들을 "의도적인 탈출"을 핑계로 사살했다.[26]

3. 역대 지휘관

취임일계급성명
1935년 10월 15일대령하인츠 구데리안
1938년 2월 1일중장루돌프 파이엘
1942년 2월 17일중장한스-카를 프라이헤르 폰 에제베크
1942년 6월 1일소장아르노 폰 렌스키
1942년 7월 1일중장한스-카를 프라이헤르 폰 에제베크 (부상)
1942년 9월 5일대령Karl Fabiunke|카를 파비운케bg
1942년 10월 1일중장폴라트 뤼베
1944년 2월 1일중장하인리히 프라이헤르 폰 뤼트비츠
1944년 5월 5일중장프란츠 베스트호벤
1944년 5월 27일중장하인리히 프라이헤르 폰 뤼트비츠
1944년 9월 1일대령Eberhard Graf von Nostitz|에버하르트 폰 노스티츠de
1944년 9월 5일소장헤닝 쇤펠트
1944년 12월 15일소장마인라트 폰 라우헤르트
1945년 3월 20일소장오스카르 문젤
1945년 4월 3일참모 소령발데마르 폰 가젠
1945년 4월 4일대령카를 스톨브로크

[13]

4. 주요 참전 전투



제2기갑사단은 폴란드 침공, 프랑스 전투, 발칸 전역을 거쳐 동부 전선 초기 모스크바 전투, 쿠르스크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16][17][18][19][20] 1944년에는 서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노르망디 상륙작전, 벌지 전투 등에 투입되었으며, 1945년 5월 미군에 항복했다.[19][21]

5. 부대 편제

제2기갑사단은 1935년 10월 15일에 창설되어 폴란드 침공, 프랑스 전투, 발칸 전역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역에 참전했다. 이 사단은 전쟁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쳤다.

1939년 폴란드 전역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25]

제2기갑사단 전차 전력 (1939년)
전차 종류수량
1호 전차(PzKpfw I)124대
2호 전차(PzKpfw II)155대
3호 전차(PzKpfw III, 37mm 전차포 장착)6대
4호 전차(PzKpfw IV)17대
구난전차20대
총계322대



1943년 3월, 3 전차연대 1 전차대대가 재창설되어 사단은 다시 2개 전차대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같은 해 5월 7일, 3 전차연대 1전차대대는 티이거 전차를 장비한 독립 전차부대인 507 중전차대대가 되었다. 그러나 6월 30일, 507 독립 중전차대대는 판터로 무장한 3 전차연대 1대대로 환원되었다.[7] 같은 해 5월, 2 Kradschützen-Abteilung는 2 기갑수색대가 되었고, 사단 저격병연대는 기갑척탄병연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9]

1944년 프랑스에서 거의 전멸한 사단은 352 보병사단과 함께 재편성되었다.[7]

1943년 동부 전선에서의 기본적인 편성은 다음과 같다.[14]

1943년 – 동부 전선


5. 1. 1939년

1939년


5. 2. 1940년


  • '''2 소총 연대'''
  • * 1 소총 대대
  • * 2 소총 대대
  • '''304 소총 연대'''
  • * 1 소총 대대
  • * 2 소총 대대
  • '''2 오토바이 정찰대대'''
  • '''3 전차연대'''
  • * 1 전차대대
  • * 2 전차대대
  • '''74 포병연대'''
  • * 1 포병대대
  • * 2 포병대대
  • * 3 포병대대
  • '''5 차량화 수색대대'''
  • '''38 대전차대대'''
  • '''38 통신대'''
  • '''38 공병대대'''
  • '''38 사단지원대'''

5. 3. 1942년

1942년, 제2기갑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2]

1942년 제2기갑사단 편제
부대



1942년에 3 전차연대 1 전차대대가 해산되어 다른 부대로 이동하면서 제2기갑사단은 1개 전차대대만 보유하게 되었다. 5 대전차대대는 24 Kradschützen-Abteilung로 변경되어 24 기갑사단으로 배치되었고, 사단에는 273 육군방공포대대가 배속되었다.[7][9]

6. 시기별 배치 현황

날짜군단집단군지역
1939년 9월18 군단14군남부집단군폴란드
1940년 1월19 군단12군A 집단군아이펠
1940년 5월-12군A 집단군룩셈부르크 - 덩케르크
1940년 6월39 군단구데리안 군단A 집단군Aisne - 벨포르
1940년 7월 - 8월40군단BdE-Home
1940년 9월 - 10월40군단-B 집단군폴란드
1940년 11월 - 12월40군단12군B 집단군폴란드
1941년 1월40군단17군B 집단군폴란드
1941년 2월예비대17군B 집단군폴란드
1941년 3월예비대12군-루마니아
1941년 4월18군단12군-그리스
1941년 5월40군단12군-그리스
1941년 6월보충 중BdE-7 군관구
1941년 7월 - 8월예비대OKH남부집단군폴란드
1941년 9월예비대7군D 집단군남서 프랑스
1941년 10월40군단4 기갑집단중부집단군비야스마
1941년 11월46 군단4 기갑집단중부집단군모스크바
1941년 12월41 군단3 기갑군중부집단군모스크바 (클린)
1942년 1월41 군단3 기갑군중부집단군카마노보
1942년 2월 - 4월41 군단9군중부집단군르제프
1942년 5월 - 7월에제베크 군단9군중부집단군바이로예
1942년 8월예비대9군중부집단군르제프
1942년 9월 - 10월46 군단9군중부집단군르제프
1942년 11월 - 12월46 군단3 기갑군중부집단군르제프
1943년 1월 - 3월39 군단9군중부집단군르제프
1943년 4월예비대-중부집단군스몰렌스크
1943년 5월 - 6월예비대2 기갑군중부집단군스몰렌스크
1943년 7월47 군단9군중부집단군오룔
1943년 8월예비대9군중부집단군오룔
1943년 9월9 군단4군중부집단군옐냐
1943년 10월56 군단2 군중부집단군키예프
1943년 11월예비대2 군중부집단군호멜
1943년 12월56 군단2 군중부집단군호멜
1944년 1월 - 3월예비대15 군D 집단군아미앵
1944년 4월 - 6월예비대-B 집단군아미앵
1944년 7월47 군단서부기갑집단B 집단군노르망디
1944년 8월기록 없음.
1944년 9월1 SS군단7군B 집단군아이펠, 프륌
1944년 10월 - 11월66 군단7군B 집단군비트부그
1944년 12월예비대7군B 집단군아르덴느
1945년 1월58 군단5 기갑군B 집단군아르덴느
1945년 2월 - 3월13 군단7군B 집단군모젤강, 훈스뤼크
1945년 4월7 군관구7군G 집단군라인강, 뢴
1945년 5월13 군단7군중부집단군플라우엔


7. 기사십자장 서훈자

연도날짜이름
1940년6월 3일루돌프 바이엘
6월 16일프리드리히 뤼베
7월 4일한스 귄터 쉬토텐
7월 30일구스타프 베르스트
8월 5일한스 울리히 바크
빌헬름 레너
8월 5일발터 뢰들리히
1941년6월 13일카를 데커
카를 미클라이
1942년3월 6일카를 베츠
9월 16일빌헬름 바이덴브뤼크
10월 4일로타르 비쇠프샤우젠
1943년7월 31일빌헬름 부크
8월 4일하인리히 타일렌
8월 8일오토 돔리히
헤르베르트 디트리히 메켈
카를 리이허스
8월 14일한스 엔더스
8월 17일볼라트 뤼베
10월 18일게르하르트 슈미트후버
1944년2월 7일알브레흐트 복스베르크
7월 20일하인리히 벤트란트
9월 30일한스 리흐터
12월 23일리하르트 몬샤우
1945년3월 28일요세프 함머슈미트
5월 9일페터 프린
헬무트 발터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World War II Orbis Publishing 1983
[2]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www.cgsc.edu/[...] 2016-06-15
[3] 문서 Mitcham, p. 3–9.
[4] 문서 Mitcham, p. 46.
[5] 문서 Stoves, p. 19.
[6] 문서 Beevor, p. 105.
[7] 문서 Mitcham, p. 47.
[8] 간행물 "La Garde meurt mais ne se rend pas!": Once Again on the 28 Panfilov Heroes http://muse.jhu.edu/[...] 2012
[9] 문서 Stoves, p. 20.
[10] 문서 Mitcham, p. 48.
[11] 뉴스 Military Channel, Program "Tank Overhaul" ca 22:51, Wednesday 13 August 2008 (UTC) "18:00–19:00 hrs EDST", mixed documentary featuring M18 Hellcat refurbishment with interviews of WWII veterans and expert commentary by WWII historians.
[12] 서적 Battle of the Bulge 1944 (2): Bastogne Osprey Publishing 2004
[13] 문서 Mitcham, p. 48–52.
[14]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www.cgsc.edu/[...]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6-06-15
[15] 문서 Mitcham, p. 3–9
[16] 문서 Mitcham, p. 46
[17] 문서 Stoves, p. 19
[18] 문서 Beevor, p. 105.
[19] 문서 Mitcham, p. 47
[20] 문서 Stoves, p. 20
[21] 문서 Mitcham, p. 48
[22] 문서 Mitcham, p. 48
[23] 뉴스 Military Channel, Program "Tank Overhaul" ca 22:51, Wednesday 13 August 2008 (UTC) "18:00–19:00 hrs EDST", mixed documentary featuring M18 Hellcat refurbishment with interviews of WW-II veterans and expert commentary by WW-II historians.
[24] 서적 Battle of the Bulge 1944 2: Bastogne
[25] 웹사이트 achtungpanzer.com http://www.achtungpa[...]
[26] 서적 Zbrodnie Wehrmachtu na jeńcach wojennych w II Wojnie Światowej Warszawa 19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